📌Optional<T> is Present()
오늘은 Optional을 사용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메서드인 is Present() 메서드에 대해서 작성하겠다.
자바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정의되지 않은 객체에 대해 null 값을 고려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안정적인 실행을 위해null 값을 처리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지 않게 체크를 해야한다. 이러한 상황을 처리하기위해 Optional<T> 클래스를 사용한다.
📖 Optional이란?
Java 버전8 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Optional<T>는 null이 올 수 있는 값을 감싸는 Wrapper 클래스이다.
Optional<T>는 null이 올 수 있는 값을 감싸는 Wrapper클래스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 Optional<T> isPresent()
Optional<T> isPresent() 메서드는boolean 타입이며 Optional 객체에 데이터 or 값이 들어가 있다면 true 값이 없다면 false를 리턴해주면서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IllegalArgumentException
📖 예외처리(Exception)와 에러(Error)의 차이
✔️ 예외처리(Exception)
컴퓨터의 에러가 아닌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코드로 인해 발생한다.
예외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은 에러와 동일하지만 예외처리를 진행하게 되면 종료되지 않고 정상 작동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 에러(Error)
컴퓨터 오작동 또는 고장으로 인해 프로그램에 문제가 생겼을 때를 의미한다. 에러가 발생하면 예외 처리와 다르게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고
실행 되더라도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돌아가지 않게 된다. 즉 시스템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 IllegalArgumentException
자바에서 예외처리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자주쓰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는 예외처리 방법 중 하나로 사용자가 웹서비스 조작을 잘못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예외처리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미리 감지하고 작성하는게 대부분이며 사용자가 잘못된 조작을 할만한 곳에 throw의 예외처리를 던져
사용자가 잘못된 동작을 진행했을 때 프로그램이 터지거나 종료되지 않고 경고창을 띄어줌으로써 방지하는 방법이다.
'TIL, WIL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고]B2B-물류관리 및 배송 시스템 (0) | 2024.09.23 |
---|---|
문시해알, 맞왜틀 TIL - 20230622 (0) | 2023.06.22 |
문시해알, 맞왜틀 TIL - 20230526 (0) | 2023.05.26 |
문시해알, 맞왜틀 TIL - 20230525 (1) | 2023.05.25 |
문시해알, 맞왜틀 TIL - 20230524 (1) | 2023.05.24 |